생활상식/생활정보

2025년 7월 재산세(주택1기분) 납부 총정리 / 대상부터 신청, 납부기한, 유의사항까지

Healing Nomad Kim 2025. 7. 11. 20:10
반응형

어느새 한 해의 절반이 지나고, 무더위 속에서 7월이 찾아왔습니다. 이 시기에는 여름휴가 계획도 중요하지만, 생각보다 많은 이들이 깜빡하는 ‘재산세(주택분)’ 납부 시즌이기도 하지요.


매년 7월과 9월은 우리 집 재산에 대한 세금, 바로 재산세 납부 시기입니다. 특히 7월은 1기분 주택분 재산세가 고지되기에, 주택 소유자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때입니다.

 

이번 글에서는 2025년 7월 주택분 재산세 납부에 대해 대상부터 납부 방법, 감면 혜택, 주의사항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

7월 재산세 납부 시작! 안 내면 가산세 폭탄💥 지금 확인하세요!

 

재산세(주택분) 1기분 주요 정보

 

1. 재산세란?

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 부동산(주택·토지·건축물 등)을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다.
2025년 기준, 주택 재산세는 1년에 2번(7월, 9월) 부과되며, 1기분은 7월 16일~7월 31일까지 납부해야 한다.


2. 납세 대상자

  • 2025년 6월 1일 현재,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개인 또는 법인
  • 공동명의인 경우 각자의 지분에 따라 고지됨
  • 위택스에서 납세 대상 확인 가능(위택스 접속->로그인->상단 메뉴에서 '납부'->납부대상 확인->지방세 납부 대상)

위택스 지방세 납부 대상 검색
위택스 지방세 납부 대상 검색 예시

 


3. 납부 대상 세목

  • 주택분 재산세
  • 지방교육세
  • 도시지역분 재산세(도시지역 내 주택의 경우)

4. 납부 기한

  • 2025년 7월 16일 ~ 7월 31일
  • 이 기간을 넘기면 가산세 3%가 부과됨

재산세 납부 기한


5. 납부 방법

구 분 방 법
온라인 납부 위택스(www.wetax.go.kr), 지로(www.giro.or.kr), 스마트위택스 앱
오프라인 납부 은행 ATM, 무인수납기, 시청/구청 민원실 등
자동이체 사전 신청 필요 (전년도 또는 해당 연도 초에 신청 시 가능)


6. 감면 대상 및 혜택

  • 1세대 1주택자 중 공시가 3억 원 이하 (수도권 6억 원 이하): 세율 인하 또는 감면
  • 고령자, 장애인 대상 장기보유세액공제 가능
  • 장기임대주택 등록 시 감면 혜택 있음

주의사항

  1. 이중 납부 주의
    • 자동이체를 신청한 경우에도 위택스에서 납부 시 중복 납부될 수 있으니 고지서 확인 필수
  2. 주소 이전 시 고지서 누락 주의
    • 실거주지가 아닌 등록 주소지로 고지서 발송 → 이사 시 주소 변경 반드시 신고
  3. 분할납부(연납) 신청 기한 확인
    • 재산세 20만 원 초과 시 분할 납부 가능 (1기, 2기로 자동 나눠짐)
  4. 기한 초과 시 가산세 발생
    • 3% 기본 가산세 + 1개월 초과 시 하루당 0.75% 추가

1세대 1주택자 중 공시가 3억 원 이하 (수도권 6억 원 이하): 세율 인하 또는 감면


꿀팁 : 알면 유용한 재산세 팁

  • 카카오페이·토스 등 간편결제 앱으로도 납부 가능 (이벤트 제공 가능성 있음)
  • 고지서 이메일 전자 고지 신청 시 종이 고지서보다 빨리 확인 가능
  • 연세액을 1월에 선납하면 할인 혜택 (연납제도)도 가능 – 단, 해당 연도 초에 신청해야 함

마무리 한마디

“재산세”는 주택 소유의 책임이자 의무입니다.
하지만 제때 납부하지 못해 가산세 부담이 생기면 예상보다 큰 금전적 손실이 되곤 하죠.


올해도 잊지 말고 고지서 확인하시고, 2025년 7월 1기분 재산세, 편하게 납부하시길 바랍니다.
조금만 미리 체크하면 세금도 줄이고, 마음의 여유도 얻을 수 있어요.


2025년 7월 재산세 주택 1기분 납부 기간, 대상자, 납부 방법, 감면 혜택, 유의사항 등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. 재산세 고지서 확인, 인터넷 납부, 자동이체 신청, 분할납부, 가산세 등 꼭 알아야 할 정보를 담았습니다.

 

 

2025년 하반기 달라지는 정책들 / 모든 변화 한눈에!

1. 서론2025년 하반기(7월~!12월)에는 사회·경제·교육·복지·환경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정책 변화가 예정되어 있어요. “2025년 하반기 달라지는 정책들” 포스트는 국민과 사업자, 학생 모두

www.healingnomadkim.com

 

반응형